1982년에 출범한 KBO 프로야구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프로 스포츠입니다. 구단들의 오랜 라이벌 구도와 흥망성쇠 등을 아면 야구를 재미있게 볼 수 있습니다. KBO 프로야구 역대 우승팀과 MVP, 역대 다승왕과 홈런왕을 알려 드립니다.
1. KBO 한국 시리즈 우승팀 및 MVP
가장 많이 우승한 팀은 총 11번 우승한 KIA 타이거스(해태 타이거스)입니다. 80 ~ 90년대 최강의 팀으로 1986 ~ 1989년에는 4 시즌 연속으로 우승했습니다. 역대 최고의 타자 중 하나로 평가받는 해태 이종범은 1993년 데뷔 첫해 팀을 우승으로 이끌면서 한국 시리즈 MVP에 선정됐습니다.
시즌 | 우승 | MVP |
---|---|---|
1982 | OB | 김유동 (OB, 외야수) |
1983 | 해태 | 김봉연 (내야수) |
1984 | 롯데 | 유두열 (외야수) |
1985 | 삼성 | - |
1986 | 해태 | 김정수 (투수) |
1987 | 해태 | 김준환 (외야수) |
1988 | 해태 | 문희수 (투수) |
1989 | 해태 | 박철우 (내야수) |
1990 | LG | 김용수 (투수) |
1991 | 해태 | 장채근 (포수) |
1992 | 롯데 | 박동희 (투수) |
1993 | 해태 | 이종범 (내야수) |
1994 | LG | 김용수 (투수) |
1995 | OB | 김민호 (내야수) |
1996 | 해태 | 이강철 (투수) |
1997 | 해태 | 이종범 (내야수) |
1998 | 현대 | 정민태 (투수) |
1999 | 한화 | 구대성 (투수) |
2000 | 현대 | 톰 퀸란 (내야수) |
2001 | 두산 | 타이론 우즈 (내야수) |
2002 | 삼성 | 마해영 (외야수) |
2003 | 현대 | 정민태 (투수) |
2004 | 현대 | 조용준 (투수) |
2005 | 삼성 | 오승환 (투수) |
2006 | 삼성 | 박진만 내야수) |
2007 | SK | 김재현 (외야수) |
2008 | SK | 최정 (내야수) |
2009 | KIA | 나지완 (외야수) |
2010 | SK | 박정권 (내야수) |
2011 | 삼성 | 오승환 (투수) |
2012 | 삼성 | 이승엽 (내야수) |
2013 | 삼성 | 박한이 (외야수) |
2014 | 삼성 | 야마이코 나바로 (내야수) |
2015 | 두산 | 정수빈 (외야수) |
2016 | 두산 | 양의지 (포수) |
2017 | KIA | 양현종 (투수) |
2018 | SK | 한동민 (외야수) |
2019 | 두산 | 오재일 (내야수) |
2020 | NC | 양의지 (포수) |
2021 | KT | 박경수 (내야수) |
2. KBO 프로야구 정규 시즌 순위
국내 프로야구 우승팀은 정규 시즌 상위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펼치는 포스트 시즌을 통해 결정되는데요. 2, 3위 팀이 3판 2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하고, 이 경기 승리팀이 1위 팀과 5판 3선승제의 한국 시리즈를 해서 우승팀을 가립니다. 3, 4위 팀간 승차가 작으면, 두 팀이 단판으로 결정되는 준플레이오프를 펼칩니다. 1984년에는 정규 시즌 4위 롯데가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 시리즈에서 승리를 거두며 우승했습니다.
시즌 | 1위 | 2위 | 3위 | 4위 |
---|---|---|---|---|
1982 | OB(*) | 삼성 | MBC | 해태 |
1983 | MBC | 해태(*) | 삼미 | 삼성 |
1984 | OB | 삼성 | MBC | 롯데(*) |
1985 | 삼성(*) | 롯데 | 해태 | OB |
1986 | 삼성 | 해태(*) | MBC | OB |
1987 | 삼성 | 해태(*) | 롯데 | OB |
1988 | 해태(*) | 빙그레 | 롯데 | 삼성 |
1989 | 빙그레 | 해태(*) | 태평양 | 삼성 |
1990 | LG(*) | 해태 | 빙그레 | 삼성 |
1991 | 해태(*) | 빙그레 | 삼성 | 롯데 |
1992 | 빙그레 | 해태 | 롯데(*) | 삼성 |
1993 | 해태(*) | 삼성 | OB | LG |
1994 | LG(*) | 태평양 | 한화 | 해태 |
1995 | OB(*) | LG | 롯데 | 해태 |
1996 | 해태(*) | 쌍방울 | 한화 | 현대 |
1997 | 해태(*) | LG | 쌍방울 | 삼성 |
1998 | 현대(*) | 삼성 | LG | OB |
1999 | 두산 | 롯데 | 삼성 | 한화(*) |
2000 | 현대(*) | 두산 | 삼성 | LG |
2001 | 삼성 | 현대 | 두산(*) | 한화 |
2002 | 삼성(*) | KIA | 현대 | LG |
2003 | 현대(*) | KIA | 삼성 | SK |
2004 | 현대(*) | 삼성 | 두산 | KIA |
2005 | 삼성(*) | 두산 | SK | 한화 |
2006 | 삼성(*) | 현대 | 한화 | KIA |
2007 | SK(*) | 두산 | 한화 | 삼성 |
2008 | SK(*) | 두산 | 롯데 | 삼성 |
2009 | SK | KIA(*) | 두산 | 롯데 |
2010 | SK(*) | 삼성 | 두산 | 롯데 |
2011 | 삼성(*) | 롯데 | SK | KIA |
2012 | 삼성(*) | SK | 두산 | 롯데 |
2013 | 삼성(*) | LG | 넥센 | 두산 |
2014 | 삼성(*) | 넥센 | NC | LG |
2015 | 삼성 | NC | 두산(*) | 넥센 |
2016 | 두산(*) | NC | 넥센 | LG |
2017 | KIA(*) | 두산 | 롯데 | NC |
2018 | 두산 | SK(*) | 한화 | 넥센 |
2019 | 두산(*) | SK | 키움 | LG |
2020 | NC(*) | KT | 두산 | LG |
2021 | KT(*) | 삼성 | LG | 두산 |
3. KBO 프로야구 정규 시즌 MVP
가장 많이 MVP로 선정된 선수는 한일 통산 626 홈런을 기록한 이승엽입니다. 정규 시즌 MVP로 총 5번 선정되었으며 2001, 2002, 2003년에는 3 시즌 연속으로 선정됐습니다. 1994년에는 이종범이 약 4할의 타율(0.393), 약 20개의 홈런(19개), 리그 1위 출루율(0.452), 리그 2위 장타율(0.581), 그리고 한 시즌 최다 도루(84개)를 기록하며 MVP에 선정됐습니다.
시즌 | 선수 | 포지션 | 소속 |
---|---|---|---|
1982 | 박철순 | 투수 | OB |
1983 | 이만수 | 포수 | 삼성 |
1984 | 최동원 | 투수 | 롯데 |
1985 | 김성한 | 1루수 | 해태 |
1986 | 선동열 | 투수 | 해태 |
1987 | 장효조 | 우익수 | 삼성 |
1988 | 김성한 | 1루수 | 해태 |
1989 | 선동열 | 투수 | 해태 |
1990 | 선동열 | 투수 | 해태 |
1991 | 장종훈 | 1루수 | 빙그레 |
1992 | 장종훈 | 1루수 | 빙그레 |
1993 | 김성래 | 1루수 | 삼성 |
1994 | 이종범 | 유격수 | 해태 |
1995 | 김상호 | 좌익수 | OB |
1996 | 구대성 | 투수 | 한화 |
1997 | 이승엽 | 1루수 | 삼성 |
1998 | 타이론 우즈 | 1루수 | OB |
1999 | 이승엽 | 1루수 | 삼성 |
2000 | 박경완 | 포수 | 현대 |
2001 | 이승엽 | 1루수 | 삼성 |
2002 | 이승엽 | 1루수 | 삼성 |
2003 | 이승엽 | 1루수 | 삼성 |
2004 | 배영수 | 투수 | 삼성 |
2005 | 손민한 | 투수 | 롯데 |
2006 | 류현진 | 투수 | 한화 |
2007 | 다니엘 리오스 | 투수 | 두산 |
2008 | 김광현 | 투수 | SK |
2009 | 김상현 | 3루수 | KIA |
2010 | 이대호 | 3루수 | 롯데 |
2011 | 윤석민 | 투수 | KIA |
2012 | 박병호 | 1루수 | 넥센 |
2013 | 박병호 | 1루수 | 넥센 |
2014 | 서건창 | 2루수 | 넥센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NC |
2016 | 더스틴 니퍼트 | 투수 | 두산 |
2017 | 양현종 | 투수 | KIA |
2018 | 김재환 | 좌익수 | 두산 |
2019 | 조쉬 린드블럼 | 투수 | 두산 |
2020 | 멜 로하스 주니어 | 외야수 | KT |
2021 | 아리엘 미란다 | 투수 | 두산 |
4. KBO 프로야구 역대 다승왕
가장 많이 다승왕에 오른 선수는 역대 최고의 투수로 평가받는 선동렬입니다. 다승왕에 총 4번 올랐으며 1989, 1990, 1991년에는 3 시즌 연속으로 다승왕을 기록했습니다. 한 시즌 최다승 기록은 1983년 삼미 슈퍼 스타즈의 장명부가 세운 30승입니다.
시즌 | 선수 | 소속 | 승수 |
---|---|---|---|
1982 | 박철순 | OB | 24 |
1983 | 장명부 | 삼미 | 30 |
1984 | 최동원 | 롯데 | 27 |
1985 | 김시진 | 삼성 | 25 |
1985 | 김일융 | 삼성 | 25 |
1986 | 선동열 | 해태 | 24 |
1987 | 김시진 | 삼성 | 23 |
1988 | 윤학길 | 롯데 | 18 |
1989 | 선동열 | 해태 | 21 |
1990 | 선동열 | 해태 | 22 |
1991 | 선동열 | 해태 | 19 |
1992 | 송진우 | 빙그레 | 19 |
1993 | 조계현 | 해태 | 17 |
1994 | 이상훈 | LG | 18 |
1994 | 조계현 | 해태 | 18 |
1995 | 이상훈 | LG | 20 |
1996 | 구대성 | 한화 | 18 |
1996 | 주형광 | 롯데 | 18 |
1997 | 김현욱 | 쌍방울 | 20 |
1998 | 김용수 | LG | 18 |
1999 | 정민태 | 현대 | 20 |
2000 | 김수경 | 현대 | 18 |
2000 | 임선동 | 현대 | 18 |
2000 | 정민태 | 현대 | 18 |
2001 | 손민한 | 롯데 | 15 |
2001 | 신윤호 | LG | 15 |
2002 | 마크 키퍼 | KIA | 19 |
2003 | 정민태 | 현대 | 17 |
2004 | 게리 레스 | 두산 | 17 |
2004 | 다니엘 리오스* | KIA | 17 |
2004 | 배영수 | 삼성 | 17 |
2005 | 손민한 | 롯데 | 18 |
2006 | 류현진 | 한화 | 18 |
2007 | 다니엘 리오스 | 두산 | 22 |
2008 | 김광현 | SK | 16 |
2009 | 아킬리노 로페즈 | KIA | 14 |
2009 | 윤성환 | 삼성 | 14 |
2009 | 조정훈 | 롯데 | 14 |
2010 | 김광현 | SK | 17 |
2011 | 윤석민 | KIA | 17 |
2012 | 장원삼 | 삼성 | 17 |
2013 | 배영수 | 삼성 | 14 |
2013 | 크리스 세든 | SK | 14 |
2014 | 앤디 밴 헤켄 | 넥센 | 20 |
2015 | 에릭 해커 | NC | 19 |
2016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 22 |
2017 | 양현종 | KIA | 20 |
2017 | 헥터 노에시 | KIA | 20 |
2018 | 세스 후랭코프 | 두산 | 18 |
2019 | 조쉬 린드블럼 | 두산 | 20 |
2020 | 라울 알칸타라 | 두산 | 20 |
2021 | 데이비드 뷰캐넌 | 삼성 | 16 |
2021 | 에릭 요키시 | 키움 | 16 |
5. KBO 프로야구 역대 홈런왕
가장 많이 홈런왕에 오른 선수는 이승엽과 박병호입니다. 두 선수 모두 홈런왕에 5번 올랐으며, 이승엽은 한 시즌 최다 홈런(56개) 기록을, 박병호는 4시즌(2012, 2013, 2014, 2015) 연속 홈런왕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시즌 이상 연속으로 홈런왕을 기록한 선수는 이만수, 장종훈, 이승엽, 박병호 4명뿐입니다.
시즌 | 선수 | 소속 | 홈런수 |
---|---|---|---|
1982 | 김봉연 | 해태 | 22 |
1983 | 이만수 | 삼성 | 27 |
1984 | 이만수 | 삼성 | 23 |
1985 | 이만수 | 삼성 | 22 |
1985 | 김성한 | 해태 | 22 |
1986 | 김봉연 | 해태 | 21 |
1987 | 김성래 | 삼성 | 22 |
1988 | 김성한 | 해태 | 30 |
1989 | 김성한 | 해태 | 26 |
1990 | 장종훈 | 빙그레 | 28 |
1991 | 장종훈 | 빙그레 | 35 |
1992 | 장종훈 | 빙그레 | 41 |
1993 | 김성래 | 삼성 | 28 |
1994 | 김기태 | 쌍방울 | 25 |
1995 | 김상호 | OB | 25 |
1996 | 박재홍 | 현대 | 30 |
1997 | 이승엽 | 삼성 | 32 |
1998 | 우즈 | OB | 42 |
1999 | 이승엽 | 삼성 | 54 |
2000 | 박경완 | 현대 | 40 |
2001 | 이승엽 | 삼성 | 39 |
2002 | 이승엽 | 삼성 | 47 |
2003 | 이승엽 | 삼성 | 56 |
2004 | 박경완 | SK | 34 |
2005 | 서튼 | 현대 | 35 |
2006 | 이대호 | 롯데 | 26 |
2007 | 심정수 | 삼성 | 31 |
2008 | 김태균 | 한화 | 31 |
2009 | 김상현 | KIA | 36 |
2010 | 이대호 | 롯데 | 44 |
2011 | 최형우 | 삼성 | 30 |
2012 | 박병호 | 넥센 | 31 |
2013 | 박병호 | 넥센 | 37 |
2014 | 박병호 | 넥센 | 52 |
2015 | 박병호 | 넥센 | 53 |
2016 | 테임즈 | NC | 40 |
2016 | 최정 | SK | 40 |
2017 | 최정 | SK | 46 |
2018 | 김재환 | 두산 | 44 |
2019 | 박병호 | 키움 | 33 |
2020 | 로하스 | KT | 47 |
2021 | 최정 | SSG | 35 |
지금까지 KBO 프로야구 역대 우승팀과 MVP, 역대 다승왕과 홈런왕을 알아 봤는데요. 야구를 보다 더 재미있게 즐기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