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온라인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진행 시 필요한 절차와 실무적인 팁을 정리했습니다. 이제 막 프로젝트 관리자가 된 분에게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목차
프로젝트 팀원 관리
1) 팀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이의 해소 방안을 찾아야 함
- 프로젝트가 진행될수록 팀원들은 심신의 피로가 쌓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짐
-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업무 효율이 떨어져, 작업 진행이 더뎌짐
2) 전문영역 안에서는 각 팀원이 의사결정권을 갖게 함
- 팀원들에게 KPI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그 외의 것에 대해서는 담당 팀원의 의견을 따라야 함
- 권한을 위임한 것에 대해서는 해당 팀원이 책임지고 작업기간 내에 작업을 마치게 요구해야 함
- PM은 일정관리, 외부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 창구역할 수행, 책임지기 필요
커뮤니케이션 관리(추가)
1) 논쟁이 치열한 사안이 있으면 아래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해야 함
- 의사결정권자가 누구인지 파악
- 의사결정권자의 주장과 그 목적을 파악
- 그 목적에 동의를 하고 내 목적도 그와 다르지 않음을 알림
대부분의 표면적 목적은 고객만족, 수익확대 같은 모두 수긍할 수밖에 없는 것임 - 의사결정권자 또는 상대방이 내가 원하는 대답을 할 수밖에 없는 질문을 함
사람은 자신이 구두로 긍정한 것이 있으면 그에 따라 행동하려 함 - 그게 어렵다면 본인의 주장을 합당한 근거와 함께 제시하고, 이는 결국 의사결정권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임을 덧붙임
위의 방법에 비해 성공할 가능성은 낮음 - 모든 게 뜻대로 안 되면 의사결정권자의 결정을 받아들임
모든 일이 내 뜻대로 되지는 않음
프로젝트 진행 체크 리스트
1) 요구사항 분석
-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작성(목적, 기능, 일정 위주)
- 수행 인력 파악 > 관련 부서 전체 리뷰 > 일정 수립(과거 유사 프로젝트 참고)
2) 정보 공유 프로세스 구축
- 관련 부서 PM(Project Manager) 정례 회의 시작(주 1회)
- 프로젝트 공용 폴더 세팅
- 프로젝트 일정 공유
- 프로젝트 문서, 파일 공유
- 프로젝트 진행 중 결정, 변경 사항 공유
- 버그 테스트 리포트 공유
- 제품 최신 버전 공유
3) 제품 기획
- 고객, 시장, 경쟁 업체, SWOT 분석(파트 PM들과 아이디어, 참고 공유)
- 기능 정의 문서 작성
- Information Architecture 작성
- 화면 설계 문서 작성
- 화면 설계 문서 기획 부서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 화면 설계 문서 관련 부서 전체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 화면 설계 문서 실무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4) 제품 프로모션 기획
- 제품 홈페이지 화면 설계
- 홈페이지, Facebook, Twitter 등을 통한 프로모션 계획 수립
5) 제품 디자인
- 시안 시연 일정 수립
- 시안 관련 부서 전체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 시안 실무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6) 제품 개발
- 베타 버전 시연 일정 수립
- 관련 부서 전체 리뷰 > 수정 사항 반영
- 제품 Test Scenario 작성
- 단위 테스트 > 수정 사항 반영
- 전체 테스트 > 수정 사항 반영
7) 제품 출시
- 제품 출시 시나리오 작성
- 제품 개발 완료 보고
- 제품 출시
참고 도서: 프로젝트 관리 실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인한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에게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