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매니저를 하다 보면 관련 부서의 협조를 얻어 내야 하고, 실무자의 스케줄과 컨디션도 체크해야 하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갈등 해소까지 해야 할 게 많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진행 시 어떤 이슈들이 발생하고, 그 때 프로젝트 매니저는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목차
프로젝트 계약 관리
1) 계약서 초안을 작성한 후, 관련 부서(경영, 재무, 법무 등) 담당자들에게 계약서 초안의 검토를 요청해야 함
- 계약서에 문제가 없는지 알기 위함
- 관련 부서에서 무시당했다고 생각하게 하지 않기 위함
- 관련 부서 담당자는 무시당했다는 느낌을 받으면 비 협조적이 됨
2) 견적서 초안을 작성할 때는 관련 부서의 협조를 받아야 함
- HW/SW 담당 부서(시스템과 솔루션의 가격 및 투입규모)
- 개발, 디자인 담당 부서(투입인력 MM)
- 인건비 = MM * 공공기관에서 발표하는 인력 단가
3) 외주업체에게 견적서를 요청할 때는 요구사항을(프로젝트 기간, 개발 범위 등) 상세하게 정리해서 알려줘야 함
2. 프로젝트 클라이언트 관리
1) 클라이언트가 요구사항을 서면으로 정리하고 이를 재확인 받아야 함
- 클라이언트는 요구사항을 자주 번복함
-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 번복으로 인한 재 작업을 줄이기 위함
- 클라이언트가 일정지연에 책임이 있음을 인지시키기 위함
2) 비현실적인 추가 제안을 지양해야 함
- 제안한 수준이 산출물 평가의 기준이 됨
- 클라이언트는 추가 제안의 현실성을 고려하지 않음
-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핵심 기능을 개발하는 데 집중해야 함
3) 클라이언트의 비현실적인 요구사항은 거절해야 함
- 비현실적인 요구사항은 산출물의 퀄리티를 떨어뜨림
- 비현실적인 요구사항은 프로젝트 실무자들 간의 신뢰와 의욕을 떨어뜨림
프로젝트 착수 준비
1) 실무 팀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그 팀의 결정권을 가진 사람으로부터 프로젝트 착수 약속을 받아야 함
- 프로젝트 기획안을 공유하고 그 팀의 작업일정표를 요청해야 함
- 요구사항 정의가 끝나야 작업일정 수립이 가능함
2) 각 팀의 작업일정표가 작성되면 킥오프 미팅을 통해 모든 관련 팀에 전체 일정과 계획을 공유해야 함
3) 모든 실무자가 프로젝트 실제 작업량을 실감하게 해야 함
- 프로젝트 작업량을 실제보다 적게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임
- 산출물의 퀄리티를 높이려면 현실적인 작업일정을 수립해야 함
참고 도서: 프로젝트 관리 실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으로 인한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에게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