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3 ~ 4주가 지난 강아지는 스스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이때 제대로 훈련을 하지 않으면 잘못된 배변 습관이 생길 수 있는데요. 강아지가 올바른 배변 습관을 갖도록 훈련하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강아지 배변 훈련 시기
생후 3주에서 14주를 '사회화 시기'라고 하는데요. 배변뿐만 아니라 모든 교육을 빨리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에 사회성을 배우기 좋습니다. 다만, 이 시기부터 한 살까지는 괄약근과 대장 근육이 잘 발달하지 않아 배변 욕구를 견디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의 강아지가 배변 실수를 하더라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괄약근이 발달하고 배변을 조절할 수 있는 시기는 생후 3개월부터입니다.
강아지 배변 훈련 방법
1. 집안 곳곳에 배변 패드를 설치한다
강아지가 주로 활동하는 공간에 많은 배변 패드를 설치해서 언제든지 찾아가 배변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석지고 조용한 공간에도 패드를 배치하여 평소 생활하는 공간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2.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배변 패드는 치운다
배변 훈련을 할 때는 사람이 정해둔 장소보다 반려견이 선호하는 장소에 배변 패드를 설치해서 강아지가 자연스레 배변 패드에서 소변과 대변을 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가 자주 사용하는 곳에 있는 배변 패드만 남기고 나머지는 주기적으로 제거합니다.
3. 실수한 곳은 냄새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한다
강아지는 냄새로 배변 공간을 인지하기 때문에 화장실, 베란다, 주방 등 냄새가 나는 곳에서 배변 욕구를 느낍니다. 그래서 이전에 배변 실수를 한 적이 있다면 냄새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해야 같은 장소에서 실수를 반복하지 않습니다.
강아지 배변 훈련 실패
생후 2개월 정도 강아지는 배변 훈련을 처음 시작할 때 이불이나 발매트, 카페트 등 푹신한 곳에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기의 강아지는 냄새가 아닌 발바닥 촉감으로 배변 장소를 찾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배변 패드로 헷갈릴 수 있는 물건은 모두 치웁니다. 그리고 배변 패드가 없는 곳에서만 사료를 급여하고 자주 실수하는 곳에 배변 패드를 설치하면 배변 공간과 다른 공간을 구분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길러집니다.
강아지 배변 횟수
강아지마다 차이는 있지만 정상적인 배변 횟수는 하루 1 ~ 2회입니다. 이틀 이상 배변을 하지 않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야외에서 배변을 할 경우에 한 번 이상 산책을 하고 외출 시 패드를 지참하여 쾌적한 배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상적인 배변 횟수는 기준이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먹는 사료의 양, 활동 정도, 나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배변 횟수의 변화입니다. 배변 횟수가 갑자기 바뀌면 질병 때문일 수 있으므로 평소 강아지의 배변 횟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견 펫보험 추천
강아지를 키울 때 식비 다음으로 많이 드는 비용이 병원비입니다. 반려견의 연간 평균 병원비는 100만 원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펫보험에 가입하면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까지 강아지가 올바른 배변 습관을 갖도록 훈련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강아지가 배변 실수를 했을 때 그것이 틀렸다고 알리는 것이 배변 훈련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올바른 배변 훈련은 꾸짖거나 칭찬하는 것이 아니라, 강아지의 배변 본능을 이해하고 적절한 곳에서 배변을 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강아지 물 과다 섭취 이유 및 주의사항
강아지가 마시는 물의 양이 갑자기 늘었다면 질병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병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평소 강아지의 음수량을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좋은데요. 강아
thinkingpocket.tistory.com
강아지 적정 음수량 및 급여 가능 물 종류
전문가들이 2시간마다 꾸준히 물 마시는 것을 권장할 정도로 반려견을 키우는 데 있어 물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 보니 물을 줄 때 수돗물을 줘도 괜찮은지, 정수기물이나 생수를 줘야 하
thinkingpocket.tistory.com
2개월 된 새끼 강아지 키우는 방법
생후 2 ~ 3개월은 강아지 성향이 형성되기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올바른 성격과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요. 시기별로 강아지를 키우는 방법을 알려 드립
thinkingpocke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