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32 팀원의 사기와 성과를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전략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온라인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진행 시 필요한 절차와 실무적인 팁을 정리했습니다. 이제 막 프로젝트 관리자가 된 분에게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목차 프로젝트 팀원 관리 커뮤니케이션 관리(추가) 프로젝트 진행 체크 리스트 참고 도서: 프로젝트 관리 실무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젝트 팀원 관리 1) 팀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면 이의 해소 방안을 찾아야 함 프로젝트가 진행될수록 팀원들은 심신의 피로가 쌓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짐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업무 효율이 떨어져, 작업 진행이 더뎌짐 2) 전문영역 안에서는 각 팀원이 의사결정권을 갖게 함 팀원들에게 KPI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그 외의 것에 대해서는 담당 팀원의 의견을 따라야 함 권한을 위임한 것에 대해서는 해당 팀원.. 2014. 1. 6. 판매량을 높여주는 상품 가격 책정 방법 4가지 상품을 판매하는데 있어 가격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가격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상품 판매량이 크게 달라지는데요. 판매량을 높여주는 상품 가격 책정 방법 4가지를 소개합니다. 상품 가격 책정 방법 4가지 1. 상품의 가격이 경쟁제품보다 싸더라도 이걸 직접 홍보하면 안 됨 노골적인 홍보는 고객이 제품 구매에 방어적이 되게 함 2.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들이는 돈보다 시간을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 첫 번째 문구를 매장에 걸었을 때 가장 많은 매출이 일어남 “Spend a little time and enjoy C&D’s lemonade” “Spend a little money and enjoy C&D’s lemonade” “Enjoy C&D’s lemonade” (neutral sign) .. 2013. 1. 24. 일정 관리에 실패하지 않기 위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전략 프로젝트 관리를 하다 보면 관련 부서의 협조를 얻어 내야 하고, 팀원의 일정과 컨디션도 체크해야 하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갈등 해소까지 해야 할 게 많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진행 시 어떤 이슈들이 발생하고, 그 때 프로젝트 매니저는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목차 프로젝트 기본 정책 수립 일정 관리 정책 수립 커뮤니케이션 정책 수립 참고 도서: 프로젝트 관리 실무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젝트 기본 정책 수립 1) 프로젝트 착수 전에 서비스 정책을 수립해야 함 각 팀원이 다른 정책을 가지고 서비스를 기획, 개발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함 정책 문서 : 제안서, 가이드(GNB, 스타일, 썸네일 이미지 규격, 링크필드 및 타.. 2012. 7. 9. It’s All About You - 우리의 Old-Brain에게 우리보다 중요한 건 없다. “당신은 어두운 거리를 걷고 있다. 당신은 혼자서 걷고 있다. 당신의 뒤에서 수상한 발자국 소리가 들린다. 당신의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 당신의 피가 솟구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위의 이야기는 다음의 이유로 당신의 주의를 끈다. 1) 이건 이야기(Story)다. 2)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다. 3) “당신”이란 단어가 반복된다. It’s All About You : Speaking to the Self-Centered, Unconscious Mind 우리의 Old-Brain은 우리의 생존과 직결된다. 우리의 Old-Brain에게 우리보다 중요한 건 없다. 우리의 Old-Brain은 우리의 생존에 위협이 없는지, 먹거나 섹스할 기회가 없는지 우리의 주변을 끊임없이 관찰한다. Danger, sex, an.. 2012. 7. 5. Choosing Carefully - 우리는 우리에게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면 아무 것도 선택하지 못한다. 우리는 우리가 많은 선택권을 갖길 원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에게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면 아무 것도 선택하지 못한다. Chapter5 : Choosing Carefully – Given Too Many Choices, We Freeze (and Then We Don’t Choose at All) In a Jam IYENGAR ANDLEPPER의 실험(1975) 대형 식료품점, 멘로파크에서 점원을 가장한 실험자가 과일잼을 시식하는 부스를 만들어 놓고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함. a) 실험 시간의 반은 6개의 잼을 진열 b) 나머지 반은 24개의 잼을 진열 a)의 경우, 40%가 잼을 시식 b)의 경우, 시식대를 지나는 사람의 60%가 잼을 시식 (선택권이 많을수록 좋은 걸까? No!) a)의 .. 2012. 6. 25. Invoking Scarcity - 우리는 재고가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을 더 사고 싶어한다. 우리는 재고가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을 더 높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더 사고 싶어한다. 이러한 심리는 정보에도 적용된다. 우리는 구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보보다 값비싸고 소수의 사람만 볼 수 있는 정보가 더 정확하며 더 높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Chapter4 : Invoking Scarcity : If Something Seems Unavailable, We Seem to Want It Even More WORCHEL, LEE, AND ADEWOLE의 실험(1975) 피실험자에게 두 개의 병에 담긴 초콜릿 쿠키의 맛을 평가해달라고 한다. 두 병에 담긴 쿠키는 동일한 쿠키이다. a) 병1 : 실험 중 쿠키를 덜어냄 b) 병2 : 그대로 둠 병1에 담긴 쿠키를 병2에 담긴 것보다 더 높게 평가.. 2012. 6. 8. 10년 차 직장인의 자기사명서 예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에서 스티븐 코비 박사가 제안한 자기사명서는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나만의 선언문입니다. 자기사명서가 있으면 결정을 내려야 할 때 망설임 없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10년 차 직장인이 직접 작성한 자기사명서를 참고해서 나만의 자기사명서를 작성해보세요. 자기사명서 내게 가장 중요한 존재는 가족이다. 내게 어떤 일이 일어나더라도 나와 함께해줄 이는 가족이다. 나도 가족에게 그런 존재가 되어야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상대방이 모를 경우, 이를 가르치려 하지 말고 이를 알게 되면 자신의 미래가 어떻게 변할지 알게 하라. 사랑을 표현하라. 사랑을 표현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내가 상대방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없다. 표현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 2012. 5. 31. 공짜로 선물을 주는 무료 마케팅이 효과적인 이유, Feeling Indebted 우리는 선물을 받으면 보답해야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감정은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데요. 누가 나에게 선물을 주면 ‘빚’을 진 느낌을 받는 본능은 사람들이 집단을 이루고 서로 협력하며 살게 해주었습니다. Leakey and Lewin(1978) “우리 선조들은 음식과 기술을 나누면서 상호 의무감을 발생시켜 공동체를 지속 발전시켜왔다.” 목차 우리가 선물을 주고 받는 이유 Regan의 실험(1971) Cialdini의 실험(1975) '75달러 이상 구매하면 무료배송' 효과가 있을까? 유용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기 Gamberini의 실험(2007) 관련 서적 정보: Neuro Web Design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우리가 선물을 주고 받는 이유 사람들은 ‘빚’을 진 느낌을 없애기 위해 받은.. 2012. 5. 30. 필요도 없는데 남이 사면 따라 사고 싶은 이유, Social Validation 우리의 행동과 결정은 이성을 관장하는 New Brain 보다 본능과 감성을 관장하는 Old Brain과 Mid Brain으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Old Brain과 Mid Brain에 의해 행해지는 행동과 결정은 무의식적으로 이뤄지는데요.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더 효과적인 UX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목차 The Power of Social Validation Latane and Darly의 실험(1970) Latane and Darly의 실험(1968) Social Validation의 적용사례: Online Rating과 Review De Vries and Pruyn의 실험(2007) Social Validation의 적용사례: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무엇을 샀는지 알려 주기 Soci.. 2012. 5. 25. 착수 단계에서 명심해야 할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전략 프로젝트 매니저를 하다 보면 관련 부서의 협조를 얻어 내야 하고, 실무자의 스케줄과 컨디션도 체크해야 하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갈등 해소까지 해야 할 게 많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진행 시 어떤 이슈들이 발생하고, 그 때 프로젝트 매니저는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실제 경험담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목차 프로젝트 계약 관리 클라이언트 관리 프로젝트 착수 준비 참고 도서: 프로젝트 관리 실무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젝트 계약 관리 1) 계약서 초안을 작성한 후, 관련 부서(경영, 재무, 법무 등) 담당자들에게 계약서 초안의 검토를 요청해야 함 계약서에 문제가 없는지 알기 위함 관련 부서에서 무시당했다고 생각하게 하지 않기 위함 관련 부서 담당자는 무시당했.. 2012. 5. 23. 이전 1 2 3 4 다음